본문 바로가기
건강 뷰티

편식이 심한 아이 식단 부터 식습관 방법

by jobbos 2025. 2. 13.
반응형

아이의 경우 편식이 심할 때 엄마의 입장에서 걱정이 많습니다. 그래서 편식이 심한 아이 식단 및 어떻게 하면 좋은지에 대한 식습관 방법 그리고 아이식단 어떤식으로 차리면 좋은지에 대한 소개힙니다. 아무래도 이유식 시기부터 꾸준히 다양한 음식을 보고 만지고 맛보지 않으면, 나이가 들어갈수록 낯선 것에 대한 거부감이 증가하고 익숙했던 것만을 찾게 됩니다.

 

편식이심한아이

 

편식이 심한 아이 식단

 

1. 처음부터 새로운 음식을 바로 먹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현재 아이가 길들여진 맛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좋아하는 음식의 종류를 보면, 단맛을 즐겨하는지 고소한 맛에 익숙한지 알 수 있고 익숙했던 맛을 이용해서 다른 음식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2. 현재 좋아하는 음식에서 출발하되 계란을 잘 먹는다면 계란의 조리법을 다양화해서

- 스크램블에그

- 계란후라이

- 계란찜

- 계란말이

다양한 형태를 경험하게 하고, 거기에 익숙해지면 다양한 채소를 함께 넣어서 먹을 수 있도록 해주세요. 거기서부터 낯선 음식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3. 음식에 대한 호기심 유발을 위해 베란다나 옥상을 이용해서 채소재배를 하는 것도 좋습니다. 채소가 자라는 과정을 관찰할 때 그 식품에 대한 거부감이 사라지고 쉽게 맛볼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다양한 식품을 보고 만질 수 있도록 해주세요.

 

 

4. 그 이후 음식을 만드는 과정에 동참하게 해서 동그랑땡이나 만두, 주먹밥 등을 만들때 모양 만드는 과정에 참여시키는 것도 좋으며,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쉽게 할 수 있는 작업에는 놀이형식으로 동참시키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5. 이와 함께 음식에 대한 설명과 교육이 조금씩 들어가는 것이 좋고 무엇보다 부모님이 맛있게 먹으면서 그 음식의 맛이나 소리, 느낌 등을 설명하는 것도 낯선 음식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해줍니다.

 

6. 이유식 때처럼 낯선 음식에 대한 거부반응은 일반적인 것이기 때문에, 한 번 맛보고 먹지 않는다고 포기하거나 억지로 먹이지는 말고, 언제든지 다시 먹어볼 수 있도록 만들어서 부모님이 맛있게 드시면서 '한번 먹어볼래?' 라고 권해주는 정도가 좋습니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친 후에 식단을 이용하셔서 음식을 만들어주는 것이 편식 교정에 더 효과적일 것 같습니다.

 

 

편식이 심한 아이 식습관 방법

 

1. 아침에 영양소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는 통밀빵을 권해드립니다. 통말빵에는 비타민과 무기질, 식이섬유소,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통밀빵을 이용하여 샌드위치를 만들어주세요.

 

2. 두부에 여러가지 채소를 넣고 패티를 만들어 토마토와 양상치를 넣고 만들어주시거나, 계란과 감자를 으깨어 소를 만들어 계란감자샌드위치를 만들어주세요. 우유나 사과당근주스, 키위주스를 곁들이는 것이 좋으며, 샌드위치와 우유로 섭취할 경우 키위1/2개 정도를 먹을 수 있도록 곁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3. 두부버거를 만들때 두부패티에 들어갈 채소. 브로콜리, 당근, 양파가 좋으며 봄에는 브로콜리 대신 냉이를 사용해도 좋습니다.

 

4. 감자와 계란을 넣은 샌드위치 외에, 길거리토스트처럼 양배추와 당근을 계란과 섞어 구운 후 빵에 넣어 먹는 것도 좋습니다. 성장기 아동에게 필요한 무기질 섭취를 위해 브로콜리, 감자, 양배추를 권해드립니다. 과일은 키위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