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뷰티

유아식 식단 및 조리방법 편식 없이

by jobbos 2025. 2. 14.
반응형

이유식을 잘 먹다가 유아식으로 넘어오면서 음식을 잘 못먹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유아식 같은 경우 유아식 식단 부터 식사방법 및 조리방법 까지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유아식 식단

 

유아식 식품 거부반응

 

출생 후 6개월부터 만 5세 이전까지 음식 네오포비아가 발생하며 2세부터 5세까지 최고조에 달합니다.

이 시기에는 낯선 식품에 대한 거부반응이 높으며 낯선 식품에 익숙해지기까지 최소 8번 정도 노출되는 것이 필요합니다.

다양한 식품을 접하는 것이 좋은 이유는, 편식을 예방하여 건강한 식생활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유아식 식단

 

맨밥이나 찐두부, 호박나물 등을 먹는 다면 아직 단맛에 길들여지지 않았기 때문에 긍정적이며, 현재 좋아하는 음식들을 중심으로 해서 지속적으로 다양한 식품을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선 맨밥을 먹는 점을 감안하여 주먹밥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때 다양한 채소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유식처럼 처음에는 한가지 식품을 첨가하면서 다양한 식품들을 접하게 한 후, 식품의 종류를 늘려가는 것이 좋습니다.

 

 

흰밥과 두부, 호박에는 철분의 함유량이 미미하기 때문에 철분의 흡수를 위해 소량의 소고기를 이용하여 소고기주먹밥을 만들 수 있으며 소고기주먹밥에 김가루나 녹색채소를 함께 섞어서 섭취할 수 있습니다.

 

유아식 조리방법

 

유아가 자극적인 맛이 아니라 약간 고소하면서 담백한 맛에 익숙하기 때문에 그 점을 감안하여 주먹밥 또한 기름지지 않고 담백하게 만들되, 밥과 소고기의 비율은 5대 1정도로 잡을 수 있습니다.

 

두부를 섭취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집에서 두부를 만들어 먹이는 것이 좋으며 이때 당근을 넣은 당근두부, 브로콜리를 넣은 브로콜리두부, 단호박을 넣고 단호박두부 등을 활용하여 이미 익숙한 두부에서 색상만 다른 두부를 기존의 흰두부와 함께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색상의 두부에 익숙해지면 흰두부에 다양한 채소를 넣은 두부채소전으로 변경하여 먹일 수 있습니다.

 

호박나물에도 호박 외에 소고기, 양송이, 새우, 가지 등의 식품들을 각각 넣어서 익숙한 호박과 함께 섭취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호박전을 시도한 후에 호박전에 익숙해지면 호박전 속을 파내어 소고기나 새우 등으로 소를 만들어 채운 후 다시 계란물을 익혀 먹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편식하지 않는 방법

 

처음부터 낯선 음식을 먹도록 하는 것보다는 이미 익숙한 음식의 형태나 색깔 등에 변화를 준 후에 다른 식품들과 함께 먹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먹밥을 만들 때에는 유아도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식품들을 만져보면서 촉감을 느끼고 냄새 맡고 하는 과정을 통해 낯선 식품에 대한 거부반응을 조금씩 줄여갈 수 있습니다.

 

부모님이 다양한 식품들을 맛있게 먹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씹는 소리를 들려주거나 맛을 표현하는 것도 긍정적입니다.

간식은 과일보다는 채소 위주로 먹이는 것이 좋으며 이는 과일에는 비타민이 풍부하여 좋은 식품이지만 현재 무기질의 섭취가 부족한 상황입니다. 그럼으로 고구마, 감자, 단호박 등을 활용한 간식이 좋으며 가장 좋은 것은 찐 후에 식혀서 먹는 것입니다. 고구마, 감자, 단호박은 우유와 함께 섭취하기에 좋은 식품입니다.

 

그리고 유아의 취침시간은 최소 10시 이전에는 이루어지는 것이 좋습니다. 밤 10시부터 새벽 2시까지 몸에 좋은 호르몬들이 분비되는 시간이기 때문에 10시 이전에는 잠을 재우는 것이 유아의 건강에 이롭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