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업 부업

창업 준비 적성에 맞는 것 찾는 방법

by jobbos 2024. 12. 28.
반응형

단순히 돈벌이로 생각해서 창업을 하다가는 후회를 하게 됩니다. 창업에는 원동력이 필요합니다. 버텨야 하는 기간이 있기 때문이며 이것은 적성에 맞을 때는 버티면서 견디는 기간에 다양한 아이디어를 발휘하지만 그것이 아닐 때에는 쉽게 무너져 내리기 때문입니다. 

 

창업 준비 적성 방법

 

내가 좋아하는 일과 잘하는 일은 다릅니다. 좋아하는 하지만 잘하지 못하는 분야가 있습니다. 그것은 취미의 일환으로는 괜찮지만 창업 준비를 할 때 좋아하는 분야를 선택하는 낭패를 보는 경우가 바로 이 부분입니다.

 

창업 준비 방법

 

잘하는 일

 

살면서 어떤 부분에 대해 잘하는 일이 있습니다. 타인의 시선에도 이런 분야는 잘한다는 이야기를 듣는 경우입니다. 잘하는 것이 바로 적성에 맡는 분야입니다. 

 

mdti 부분에 대한 접근이 필요한 이유가 바로 이렇습니다.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을 힘들어하는데 사람들 상대가 많은 것을 선택했을 때 스스로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게 되고 이는 소비자가 바로 인식하는 측면이 됩니다.

 

혼자서 뭔가 하는 것을 좋아한다면 공방같은 혼자만의 시간을 즐기고 제품을 생산하는 것에서부터 업종에 대한 선택을 해야지만 후회가 없습니다.

 

창업 후 어려움이 있을 때 원동력

 

잘한다는 것은 그 부분에 대한 머리 회전이 잘 된다를 나타냅니다. 그래서 어려움이 있어도 이겨내는 원동력이 됩니다. 즉 현재 잘되는 업종이다로 접근을 하면 원동력이 없기에 경기가 나빠서 무너질 때 바로 무너지는 결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주의할 점

 

1. 이쪽에서 누구는 얼마를 벌고, 수익이 어떻다고 하는 것에 현혹이 되는 것 만큼 안 좋은 것이 없는 쪽이 창업입니다. 그것은 잘하는 사람이 만들어낸 그들만의 수익일 뿐 나와는 상관이 없기 때문입니다.

 

2. 창업 후 몇달이 지나지 않아서 고통 속에 빠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은 나와 상관없는 업종을 선택했고, 타인의 수익만 보고 했기 때문입니다. 김밥을 예를 들어 잘 만들고 맛 평가를 잘하는 분이라면 흔한 김밥집을 하는 것이 오히려 장기적으로 가게를 알리고 자리를 잡는 비결이 됩니다.

 

3. 체인점을 통해 쉽게만 할려고 할 때 수익은 나지 않습니다. 세상에 창업을 하고 돈을 버는 일에서 수월하고 쉬운 것은 없습니다. 모를 때는 단순히 잘되는 부분만 보이지만 밑바닥에 있는 어려움은 모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장단점을 잘 살핀 후 결정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창업을 생각하신다면 내가 잘하는 일은 무엇인지부터 노트에 적어서 기록해 보시고 그쪽에서 업종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적성에 맞는 것을 할 때 잘되는 것이지 단순히 돈벌이로 접근하다 보면 잘 될 가능성은 희박하기 때문입니다.

 

반응형